- 31
- 6
현업 구매전문가의 폭넓은 인사이트가 매주 업데이트 돼요.
300만개의 기업의 신용, 재무정보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.
2천여명의 구매 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.
300만개의 기업의 신용, 재무정보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.
2천여명의 구매 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.
Trade off / 한가지를 위해 한가지를 포기하는... JIT / JIC 는 이런 관계인것 같아요... 작년 제가 속한 구매 오픈방에서 QCD중에 우선순위를 물어보니 D가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. 하지만 올해는 C의 집중이 될것 같다는 생각도 했지요!! 카멜레온처럼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잘 적응하고 변화하는 구매인이 되어야 겠다고 글을 보며 다짐합니다. (우선 생산 계획의 변동이 없었으면 ^^)
QCD의 우선순위는 크게 없는거 같지만, C와 D의 우순선위는 무한 순환 같이 왔다갔다 하는거 같습니다.
생산 계획의 변동이 없다면 구매인의 일자리가 많이 축소되겠죠? ^^ 어렵지만 카멜레온 처럼 적응하는게 강한 구매인 같습니다.
생산 계획의 변동이 없다면 구매인의 일자리가 많이 축소되겠죠? ^^ 어렵지만 카멜레온 처럼 적응하는게 강한 구매인 같습니다.
시장에서 상충관계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것 같습니다
비용과 품질이 대표적이죠 최근은 AI등의 출현으로 이러한
상충관계가 깨지고 있습니다
JIT와 JIC가 같이 가능한 시대가 올 수 도 있을것 같습니다
구매업무를 수행하다보면 상충관계는 너무나도 많이 접하게 되는거 같습니다.
요즘 GPT 열품으로 성큼 AI시대가 빠르게 도래하는 거 같습니다. 이상적인 환경이 구축되는 날이 오겠죠.
요즘 GPT 열품으로 성큼 AI시대가 빠르게 도래하는 거 같습니다. 이상적인 환경이 구축되는 날이 오겠죠.
JIT와 JIC !! 좋은 비교 개념을 알려주셨네요... 어떻게 조합 할지 조합의 비중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나 척도가 있으면 전략 방향을 결정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분석과 평가의 카테고리는 어떤것이 있을까요? 저도 관심을 갖고 생각해보는 주제입니다.
분석과 평가 방법은 각 기업들만의 고유한 방법론이자 경쟁력의 원천이므로 각 기업들마다 How To를 만들어 가야 하지 않을까요?